자아는 생각과 감정 등을 통하여 주위환경과 소통하는 행동의 주체로서의 '나 자신'을 말합니다.
1. 철학의 자아
우리 일상의 모든 경험의 기초에 있는 모든 경험을 결합하여 모든 경험을 하고 있는 바로 그 당사자라고 생각되는 의심할 수 없는 자신을 말합니다. 칸트는 본능과 욕망에 의해 살고 있는 경험적인 자아 이외에 도덕적으로 살려는 자신(양심)을 신적인 인간의 본질로 생각하여 '본래의 자기'라고 명명했습니다. 심리학자인 카를 융은 원형으로서의 자기와 반대되는 자아를 이야기한 바도 있습니다.
2. 정신분석학의 자아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자아는 정신분석학상의 개념입니다. 여기에는 자아에 더하여 초자아와 에스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가. 자아
우리의 몸과 마음은 늘 성장하고 변화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같은 자신으로 생각하고 타인과 구별됩니다. 여기서 동일하다고 의식한 자기 자신을 자아라고 하는 것입니다.
프로이트의 정의에는 1923년 이전까지는 의식을 중심으로 한 자기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즉, 나에 가까운 것으로서 말해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것은 1923년 이전에 있어서 그가 의식과 무의식의 구별에 의해 정신을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1923년이 지나고 심리적 구조론이라 하는 새로운 이론을 주장하게 되고 나서 자아라는 개념은 「의식과 전의식, 그리고 무의식적 방위를 포함한 마음의 구조」를 가리키는 단어로서 명확화 되었습니다.
자아는 에스로의 요구와 초자아로의 요구를 받아들이는데 외부로의 자극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게 됩니다. 무의식적 방위를 실시하여 에스로부터 욕구를 방위 및 승화하거나 초자아의 금지나 이상과 갈등하거나 따르거나 하는 조정적인 존재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자아는 에스와 초자아 그리고 외계에 힘들이게 하는 존재로서 전해지는 일도 많습니다.
자아는 의식과는 다른 것으로, 어디까지나 마음의 기능이나 구조로부터 정의된 개념입니다. 유명한 프로이트의 격언으로
서 「자아는 그 자체, 의식되지 않는다」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자아는 기능이나 구조에 의하여 파악되고 있어 자아가 자주 실시하는 활동으로서 방위를 말할 수 있지만, 이 방위는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대부분이 무의식적입니다. 따라서 「자아=의식」이라고 생각하는 곳에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의식하는 나」라는 개념을 정신분석학에서는 「자기 혹은 자기 이미지」로서 명확하게 구별되고 있습니다. 한국어에서 자아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는 「나」라고 동의에 수취될 수 있지만, 사실 그것은 일상어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 에스
에스는 무의식중에 해당됩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무의식적 방위를 제외한 감정, 욕구, 충동, 과거에서의 경험이 채워져 있는 부분입니다.
에스는 본능 에너지가 가득하고, 인간의 동기가 되는 성욕동과 공격성이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것을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임상과 생물학으로부터 이끌어냈습니다. 성욕동은 히스테리 등에서 볼 수 있는 근본적인 에너지로서 공격성은 음성 치료 반응이라는 현상을 통하여 상정된 것입니다.
또 에스는 유소기에서 제한된 욕동이 가득 차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되는 일도 있습니다. 이 에스는 자아를 통해 모든 욕동이 표현됩니다. 그리고 그것을 자아가 방위하거나 승화하여 조종하는 것입니다.
에스는 시상하부의 기능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또한 이 에스라는 단어는 프리드리히 니체가 사용하여 게오르그 그로젝크의 "Das Buch vom Es" 등에서 사용된 단어입니다. 프로이트는 1923년 발표한 「자아와 에스」라는 논문으로 이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다. 초자아
초자아는 자아와 에스를 가로지르는 구조로, 규칙·도덕관·윤리관·양심·금지·이상 등을 자아와 에스에게 전하는 기능을 가집니다.
자세하게는 의식과 무의식 양쪽 모두에 나타나 있고, 의식될 때도 의식되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단지, 기본적으로는 별로 의식되지 않은 것이므로 일반적으로는 무의식적이라고 자주 설명되는 것입니다.
아이를 가진 부모의 이상적인 이미지나 윤리적인 태도를 내재화하여 형성되므로 「유소기의 부모의 선물」이라고 자주 표현되기도 합니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심리 상태를 통하여 형성된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초자아는 자아의 방위를 일으키는 근거로 되어 있습니다. 자아가 단독으로 방위를 실시하거나 억압을 하는 것은 드물다고 프로이트는 생각하였습니다.
또한 초자아는 에스의 요구를 전하는 역할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무의식적인 욕구를 부지불식간 중에 초자아의 요구를 통하여 나타내고 있는 경우입니다. 그 밖에도 초자아는 자아이상 등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자아가 흘러가야 할 방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꿈을 수정하여 검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프로이트는 초자아를 자아를 통제하는 재판관이나 검열관과 같은 것에 비유하기도 했습니다.
초자아는 전두엽의 기능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지고 있지만, 사실 뇌과학적인 실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3. 기타
발달 심리학에서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얻게 되는 자신에 대한 이해'를 자아로 정의해본다면 정서적인 자아는 우리가 태어난 후 1515개월쯤 해서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인지 심리학에서는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인지할 수 있다든지 부끄러움을 경험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자아의 초기발달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남성 혹은 여성으로서 자아나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아정체성 등 자아는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이후 등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과 놀기, #인지부조화 (0) | 2024.01.22 |
---|---|
심리학 즐기기, #정신분석학 (0) | 2024.01.22 |
심리학 구경하기, #방어 기제 (0) | 2024.01.21 |
'MBTI와 심리학', #쉬어가기 (0) | 2024.01.20 |
‘MBTI 성격 유형검사’와 심리학, #쉬어가기 (0) | 202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