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 즐기기, #정신분석학

by 여름하늘나루 2024. 1. 22.
반응형

출처 - 픽사베이

 

 

 

1. 개요

- 정신분석학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만든 심리학의 한 종류로 정신의학에서 치료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 정신분석학은 인간의 행동을 크게 내적 욕구 간 충돌의 표출, 내적 욕구가 사회적 요구와 조화하는 과정의 표출로 해석합니다.

 

- 특히 내적 욕구와 외부의 사회적 요구가 조화될 때는 문제가 없지만, 조화되지 않을 때는 정신적 질환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 프로이트는 내적 욕구를 주로 성적 욕구로 이해했지만 대부분의 정신 분석가들이 이에 동의하지 않으며, 학자에 따라 방식이 다양합니다.

 

- 정신분석학에서는 일반적인 심리학과 다르게 '무의식'을 가정합니다. 심리학은 일반적으로 의식의 구조와 행동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하지만 정신분석학은 의식할 수 없는 억압된 감정과 욕망 그리고 생각 등이 인간 행동과 사고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 있습니다.

 

- 프로이트는 의식의 세계에서 인지할 수는 없지만 분명히 존재하여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에 대해 발견하고 그 무의식의 내원과 구조에 대하여 연구했습니다. 초기에 프로이트는 지형학적 모델로써 무의식의 구조를 설명했습니다.

 

- 프로이트가 주장한 초기의 정신분석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비롯한 삼자 관계(아동-어머니-아버지)와 성적 힘의 역동성에 주된 초점을 맞추었으나 후대의 정신 분석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으며 다양한 종류로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창시자이지만 프로이트의 이론이 정신분석의 전부를 이룬다고 할 수 없습니다. 프로이트 자신도 정신분석의 큰 기초를 세우는 데 있어 여러 가지 이론을 세웠다가 스스로 그것을 수정하고 폐기하기도 하였으며, 학문적 입장이 변화하기도 합니다.

 

- 프로이트 사후에는 프로이트의 친딸 안나 프로이트를 비롯한 자아심리학파와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학파가 생겨나 맞서기도 하였으며, 프랑스의 정신분석가인 라캉에 의하여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였습니다.

 

- 정신분석은 모든 정신의학 이론의 기초가 되기도 하였으며 현재 프로이트 학파 정통 정신분석연구소 연수생들은 후학을 양성하며 치료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정신분석은 올바르게 내면의 통찰을 도우며 그 통찰을 자신의 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적용하도록 돕습니다. 마음 중심의 사고방식을 가진 자에게 최고의 만족을 선사하는 과학적 사고방식을 도구로 하여 무의식을 탐구하고 깨닫는 과정이 정신분석입니다.

 

- 정신분석에서 말하는 무의식

사람의 의식은 무의식에 지배당하는 삶을 살지만 무의식을 의식의 영역화하여 보다 주도적인 삶을 살고 무의식을 컨트롤하자는 의도이며 초자아 역시 대부분은 무의식에서 발생하는 것이고 무의식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삼아 치료를 시도하지만 일반인 모두에게 정신분석은 자아 성찰에 있어서 친구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역시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정신분석학에 대한 비판들

- 프로이트와 정신 분석가들은 매우 강한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정신분석에 대한 비판과 옹호 사이의 갈등은 너무 격렬하게 진행되어 이후에 프로이트 전쟁이라 불리기도 했습니다.

 

- 초기의 비판은 정신분석이 양적이고 실험적인 연구를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몇몇은 프로이트를 위조 혐의로 비난하기도 하였는데, 그들이 주장한 위조 중 대표적인 것은 베르다 파펜하임으로 추정되는 Anna O.와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미국 철학자인 프랭크 치오피는 그의 저서에서 겉으로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잘못된 주장을 토대로 정신분석을 주장함을 지적하며 프로이트와 그의 학파의 연구를 의사과학으로 분류하였습니다. 다른 이들은 프로이트에게 상담받은 환자들이 정신 분석학과 거리가 먼, 현대에는 쉽게 진단 가능한 질환을 앓았다고 추측하였습니다.

 

- 과학철학자인 칼 포퍼는 정신분석이 의사과학인 이유로 정신분석의 주장들이 실험 가능하지 않고 반증할 수도 없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그들의 주장을 허위라 입증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 인지과학자들도 비판했습니다.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긍정심리학의 대가인 마틴 셀리그먼은 그의 저서에 "30년 전에 일어난 심리학의 인지 혁명은 프로이트 학파와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을 적어도 학문적인 분야에서는 동시에 타도했다. 생각은 그저 감정이나 행동의 결과가 아니다. 감정은 늘 인지에서 생겨나며 인지 외의 다른 것에서 발생하지 않는다."라고." 서술하였습니다.

 

- 언어학자인 노엄 촘스키는 정신 분석가들을 과학적 증거 부족으로 비판하였습니다. 스티븐 핑커는 프로이트 학파의 이론을 심리를 이해하는 데 있어 비과학적이라 여겼습니다. 진화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는 정신분석이 자연발생설과 같은 의사과학의 주장에 영향을 받은 이론으로 보았습니다. 심리학자 한스 아이젱크와 존 킬스트롬 또한 정신분석을 의사과학이라 비판하였습니다.

 

- 미국의 정신과의사인 E. 풀러 토리는 정신분석의 이론이 과학적인 근거 면에서 전통 치료사들보다 나을 것이 없다는 데 동의하였습니다.

 

- 스위스의 심리학자인 앨리스 밀러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포함한 프로이트의 충동론을 자세히 조사하고는 타당성을 거부하였습니다. 그녀와 제프리 마송에 따르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아이를 성인의 폭력적인 성적 태도의 관점에서 비난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 심리학자 조엘 쿠퍼스미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타당성을 그 본질과 기원적인 면에서 조사하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실존을 증명할 단서가 없다고 했습니다.

 

- 미셸 푸코와 질 들뢰즈는 정신분석학회가 권력의 중심이 되었으며 그들이 사용하는 고백 기법이 기독교적 전통을 반영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자크 라캉은 몇몇 미국과 영국의 정신분석적 전통의 중점, 환자가 본 것을 그가 겪는 증상의 원인으로 보는 전통적 방식을 지적하며 프로이트를 비판하였습니다. 들뢰즈와 펠리즈 가타리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구조를 비판하였습니다.

 

- 뤼스 이리가레는 자크 데리다의 인간중심주의 개념을 통해 여성의 배제를 설명하며 프로이트 학파와 라캉 학파의 정신분석 이론을 비판하였습니다.

 

 

 

3. 평가

- 정신분석은 지속적으로 정신과 의사들을 비롯한 많은 정신 건강 전문가들에 의하여 시행되고 있지만 전보다는 확연히 줄어든 경향을 보입니다. 정신 분석가이자 아동정신과 의사인 브래들리 피터슨은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치료의 방면에서 정신분석은 막바지에 도달했음에 동의할 것이라 생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정신분석의 이론상의 기초는 과학 실증주의보다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이어지는 철학적 흐름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정신분석은 심리학의 실증주의적 접근과 양립할 수 없습니다.

 

- 2004년에 발표한 프랑스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정신분석적 요법은 인지행동치료를 비롯한 다른 정신요법에 비하여 덜 효과적이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수많은 다른 연구를 메타분석법을 사용하여 여러 질병에 그 요법의 효과가 입증되었거나 추정되었는지를 살폈습니다. 수많은 연구들은 그 효능이 정신분석학적 기술이나 훈련보다 치료사의 자질에 의한 것임을 설명했습니다.

 

- 정신분석은 심리학에서 비판을 받아온 한편 문학 비평과 교육학 등으로 그 영향이 널리 파급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